꽃 이야기/구근이야기 9

<구근이야기> 4. 번식유형에 따른 구근식물의 분류(3)

&lt;구근이야기&gt; 4. 번식 유형에 따른 구근식물의 분류(3) 4-6. 글라디올러스형 - 소모성 구근 원래 심은 모구는 마르거나 소멸되어 없어지는 소모성 구근으로 모구의 주위 혹은 멀리 떨어진 곳에서 자구가 많이 생겨난다. 사랑초형과 비슷한 측면이 많지만 주된 차이점은 모구가 소멸한다는 점이다. 모..

<구근이야기> 4. 번식유형에 따른 구근식물의 분류(2)

&lt;구근이야기&gt; 4. 번식 유형에 따른 구근식물의 분류(2) 4-3. 나리형 - 비소모성 구근 여러 개의 비늘잎이 가운데를 향해 오무린 형태로 겹쳐서 바위솔처럼 생긴 구를 형성하는 종류로, 비소모성 구근이다. 모구는 해마다 성장하여 일정 크기까지 자라며, 간혹 2~3개로 분구하기도 한다. 그리고 모구의 ..

<구근이야기> 4. 번식 유형에 따른 구근식물의 분류(1)

&lt;구근이야기&gt; 4. 번식 유형에 따른 구근식물의 분류(1) 우리가 흔히 보는 고구마와 감자의 번식 방법은 어떻게 다를까? 고구마는 자르지 않고 모판에 심어 모종을 만들며, 덩이뿌리에서 자란 줄기를 적당한 길이로 잘라 꺾꽂이 형태로 밭에 심는다. 반면에 감자는 크기와 눈의 개수에 따라 2~3조각으..

<구근이야기> 3. 심는 시기에 따른 구근식물의 분류

&lt;구근이야기&gt; 3. 심는 시기에 따른 구근식물의 분류 고구마를 가을에 심는다면? 감자를 여름에 심는다면? 물론 하우스 재배나 고랭지 재배라는 특별한 경우엔 가능하겠지만 일반적인 재배의 경우 정해진 시기에 맞춰 심고 수확을 하여야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구근식물도 종류별로 심는 시기가 ..

<구근이야기> 2. 생성기원과 모양에 따른 구근식물의 분류

&lt;구근이야기&gt; 2. 생성기원과 모양에 따른 구근식물의 분류 고구마와 감자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똑같이 뿌리를 이용하는 채소 종류인데?? 초등학교 시험에도 간혹 나오는 헷갈리는 문제이다. 답은 고구마는 뿌리, 감자는 줄기라는 것이다. 동글동글, 울퉁불퉁, 길쭉길쭉~ 구근의 생긴 모양은 다르..

<구근이야기> 1. 구근식물(球根植物, Bulbs)이란?

&lt;구근이야기&gt; 1. 구근식물(球根植物, Bulbs)이란? 고구마, 감자, 양파, 마늘, 토란의 공통점을 찾는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채소라는 대답을 생각할 것이다. 만일 답을 한 가지 더 찾는다면? 모두 땅속이나 지표면에 덩이를 형성하여 양분을 저장한다고 대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기관을 구근이..